오늘 학습 주제
1. 리눅스 로그
2. 윈도우 로그
리눅스 로그
- syslog/rsyslog -

로그를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패키지
/etc/rsyslog.conf 파일로 특정 구간에서 발생하는 로그가 특정 구역에 저장되게 설정 가능
파일 내부 [Rule] 부분에 로그 관리 정책이 설정
[facililty].[priority] [action] 형태로 설정
facility: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프로그램 유형priority: 위험 정도로 설정한 수준보다 높을 경우 메시지 발생action: 메시지를 보낼 목적지나 행동들로 일반적으로 파일명 기재
| facilirty 종류(What) | |
| cron | cron, at과 같은 스케줄링 프로그램이 발생한 메시지 |
| auth, security | login과 같이 인증프로그램 유형이 발생한 메시지 |
| authpriv | ssh와 같이 인증을 필요한 프로그램 유형이 발생한 메시지 사용자 추가 시에도 메시지가 발생 |
| daemon | telnet, ftp 등과 같이 여러 데몬이 발생한 메시지 |
| kern | 커널이 발생한 메시지 |
| lpr | 프린트 유형의 프로그램이 발생한 메시지 |
| facilirty 종류(심각 수준, Level) | |
| none | 로그로 기록하지 않음 |
| debug | 프로그램을 개발 또는 테스트 할 때 발생하는 메시지 |
| info | 사용자가 알아둬야 할 기본정보 메시지 |
| notice | 특별한 주의를 필요하나 에러는 아닌 메시지 |
| warning, warn | 주의가 필요한 경고 메시지(무시해도 됨) |
| error, err |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의 처리가 필요한 경우 발생 메시지 소프트웨어 상에서 발생하는 오류 메시지 |
| crit | 크게 급하지는 않지만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는 단계의 메시지 하드웨어 장치에 문제가 발생 시 생성 |
| alert | 즉각적인 조정을 해야 하는 상황 시스템 DB에 손상 등 즉시 수정해야 되는 상황 |
| emerg, panic | 모든 사용자들에게 전달되는 패닉 상황 블루스크린, 커널 패닉 등에서 발생 |
각 항목은 자신 아래의 모든 로그를 생성
ex) kern.err → err, crit, alert, emerg 항목 로그 생성
| action 종류(where) | |
| file | 지정한 파일에 로그를 기록 |
| @host | 지정한 호스트로 메시지를 전달 (IP 지정 가능) |
| user | 지정한 사용자가 로그인한 경우 해당 사용자의 터미널로 전달 (계정명 설정) |
| * |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모든 사용자의 화면으로 전달 |
| 콘솔 또는 터미널 | 지정한 터미널로 메시지를 전달 |

로그가 발생하면 로그 파일로만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
콘솔이나 다른 호스트, 또는 폐기도 가능

윈도우 로그
- 윈도우 로그 -
| Type 1 | Type 2 | |
| OS | Window 2000/XP/2003 | Windows Vista /2008/7/10 |
| 로깅 데이터 | System, security, Application | System, security, Application+ |
| 로그 저장형태 | Binary | Binary, XML |
| 로그 확장자명 | .evt | .evtx |
| 저장 경로 | \windows\system32\config | \windows\system32\winevt\logs |
윈도우에서는 로그를 이벤트라 지칭
운영체제가 업그레이드 됨에 따라 버전 별로 형태와 경로에 변화가 존재
리눅스:
윈도우: 중앙 집중
- 이벤트 뷰어 -

| 응용 프로그램 |
|
| 보안 |
|
| 설정 |
|
| 시스템 |
|
| 전달된 이벤트 (forwarded events) |
|
- 로그 필터링 -

| 정보 |
|
| 경고 |
|
| 오류 |
|
| 위험 |
|
- 이벤트 ID -
로그 유형에 따라 이벤트 ID가 부여
필요한 데이터를 따로 추출해 로그 분석 가능
| 이벤트 ID | 설명 |
| 4726 | 계정 삭제 |
| 4624 | 로그인 성공 |
| 4625 | 로그인 실패 |
| 5142 | 네트워크 공유 개체가 추가 |
| 5632 | 무선 네트워크에 인증을 요청 |
| 4689 | 프로세스를 끝냄 |
| 6005 | 시스템 시작 |
| 6006 | 시스템 종료 |
- 감사 정책(Audit Policy) -
감사 정책에 따라 로그의 기록 여부가 결정
| 개체 액세스 감사 (권장값 : 감사안함) |
|
| 계정 관리 감사 (권장값 : 실패) |
|
| 프로세스 추적 감사 (권장값 : 감사안함) |
|
| 권한 사용 감사 (권장값 : 실패) |
|
| 시스템 이벤트 감사 (권장값 : 감사안함) |
|
| 로그온 이벤트 감사 (권장값 : 성공,실패) |
|
| 계정 로그온 이벤트 감사 (권장값 : 성공,실패) |
|
| 정책 변경 감사 (권장값 : 성공,실패) |
|
| 디렉터리 서비스 액세스 감사 (권장값 : 실패) |
|
'SK shieldus Rookies 16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SK shieldus Rookies 16기]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융합 보안 과정 교육 정리(48일차) (0) | 2024.01.09 |
|---|---|
| [SK shieldus Rookies 16기]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융합 보안 과정 교육 정리(47일차) (0) | 2024.01.08 |
| [SK shieldus Rookies 16기]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융합 보안 과정 교육 정리(45일차) (1) | 2024.01.04 |
| [SK shieldus Rookies 16기]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융합 보안 과정 교육 정리(44일차) (5) | 2024.01.03 |
| [SK shieldus Rookies 16기]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융합 보안 과정 교육 정리(43일차) (0) | 2023.12.22 |